BLOG main image
분류 전체보기 (315)
(59)
일상 (136)
음악 (28)
영화 (19)
(12)
카페 (58)
Visitors up to today!
Today hit, Yesterday hit
daisy rss
tistory 티스토리 가입하기!
2007. 8. 20. 15:49
[]

1.
도코모와 소프트뱅크 모바일 양사 모두 20~34세 여성 유저의 역할에 대해서 중요하게 언급하고 있습니다. 해당 유저들이 최근에 부상하는 서비스들(ex. 쇼핑, 만화)을 이끌고 있다고 합니다.

의견: 이통사의 데이터정액제 푸쉬에 따라 쇼핑과 같은 형태의 정보이용료가 없는 서비스가 늘어날 것은 자연스럽게 예측할 수 있으나, 만화의 경우는 한국과의 차이점으로 볼 수 있을 듯 합니다. 한국에서 (이통사마다 차이는 있겠으나) 만화 콘텐츠의 매출에 뭔가 큰 의미를 부여하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판단됩니다.
늘 그렇듯 일본과 우리나라의 모바일 서비스 사용환경에 대한 고려 역시 필요할 듯 싶군요.

2.
각 사별 주요 키포인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도코모-중장기 전략인 '모바일의 생활 인프라'
KDDI-미디어플로(Mediaflo)를 통해 방송 분야에서 주도권 장악
소프트뱅크 모바일-야후 모바일을 통해서 고객 로열티 확보 (기타 전자책과 게임)

큰 흐름은 동영상 서비스 강화이며(ex.도코모-Recommand 포털 혹은 커머스 연계 모델, 소프트뱅크 모바일-야후와 연계 동영상 서비스) 그 밖에 SNS에 대한 고민(KDDI-아직까지는 추이를 관망)를 하고 있는듯 보입니다.

의견: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이렇다할 수익모델은 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봐서 동영상과 SNS 혹은 다른 어떤 것 사이에서 시장의 변화를 지켜보고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1위 사업자로써 도코모가 '모바일의 생활 인프라'를 얘기는 것은 당연한 굳히기일 것이며, 2위/3위 사업자가 나름 자신의 전문문야(방송, 유선계 포탈 기반)를 기반으로 파고들기를 시도하는 것 역시 상식적인 전략들입니다.

3.
시사점은?

의견: 3G 기반의 동영상 서비스(SKT+판도라), 일단 팔아제끼고 난 후 조만간 (동영상) 데이터로 휘몰아 칠 KTF의 show, 저변확대, 데이터정액제 가입자 증가, 통화료 매출 제고를 가져올 포탈 서비스(오픈아이(SKT), 오픈존(LGT)) 그리고 SNS(토씨(SKT)를 향한 조금스러운 행보, 그 밖에  SKT의 T를 중심으로 한 브랜딩 전략(생활 속의 T) 등 전반적으로 일본과 매우 유사하게 전개되고 있습니다. (미디어플로 정도가 차이가 있겠군요.)

전반적으로 혼돈스러운 게 사실이지만, 한가지 분명한 사실은 국내 모바일 서비스가 고객상대로 편법을 그만 두고 그리하여 모든 것을 알아챈 고객이 이번엔 진심으로 돈을 내고 쓸 수 있는 어떤 가치를 제공한다면 최고 아니겠습니까? 이젠 시장도 고객도 서비스 제공자들도 준비가 됐다고 생각합니다.

<원문보기>
http://www.skyventure.co.kr/global2005/analysis/view.asp?Num=14631&Cate=2&NSLT=Y